직무기술서

품질보증팀 직무기술서
조직소개
회사의 제품 및 서비스가 고객이 제공한 설계와 사양에 대해 체계적인 품질 프로세서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본 원칙 준수와 철저한 실행력 품질 보증 활동을 통해 불량률과 폐기율을 최소화하여, 공급자의 관점이 아닌 고객 관점에서 품질 리스크를 차단하여 신뢰받는 회사를 만들어가는데 기여합니다.
팀 미션
고객 요구사항에 맞는 품질 보증과 선제적 관리로 신뢰와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활동을 통해 공정 손실을 개선하며 지속 가능한 품질 경쟁력을 확보한다.
직무내용
품질 관리 및 검사 파트
  • 01품질 시험 및 검사
    • 품질 시험 검사 체계 운영 및 개선
    • 검사 장비, 계측기 유지 관리
    • 시험 항목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02제품 품질 검사 및 관리
    • 원/부자재, 반제품, 완제품의 품질 검사 계획 수립 및 실행.
    • 품질 공정 불량률 분석 및 원인 파악.
    • 품질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개선 사항 도출.
  • 03공정 품질 관리
    • 생산 공정 중 품질 요인 문제점 도출 및 실행.
    •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품질 사전 예방 활동.
    • 통계적 기법을 활용한 품질 변동성 분석.
  • 04품질 보증 테스트
    • 제품의 신뢰성 및 친환경 검증 수행.
    • 제품 기능 및 신뢰성 TEST 계획 및 실행.
    • Test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 개선 방안 제안.
  • 05품질 불량 문제 대응
    • 품질 불량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 및 대응.
    • 고객 불만 및 품질 문제 해결을 위한 팀 간 협력.
    • 재발 방지를 위한 품질 개선 활동 추진.
  • 06품질 데이터 관리 및 보고
    • 품질 검사 및 Data 수집 및 분석.
    • 주별, 월별 품질 자료 작성 및 경영진 보고.
    • 품질 데이터 기반의 개선 Task 도출 및 실행.
  • 07고객 요구사항 반영 및 품질 관리
    • 고객 & 자사간 품질 요구사항을 공정에 반영.
    • 고객 품질 불만 사항에 대한 조사 및 해결.
    •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 향상 활동 수행.
  • 08품질 관리 시스템 운영 및 인증 유지
    • ISO 9001, ISO 14001 등 품질 인증 관리 및 유지.
    • 품질 관리 시스템의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개선.
    • 외부 인증 심사 준비 및 대응.
  • 09품질 교육 프로그램 운영
    • 관리감독자 대상 품질 관리 교육
    • 생산 LQC 검사자 대상 품질 기준 교육.
    • 품질 불량 예방을 위한 전사적 교육 진행.
품질 개선 및 지속 가능성 파트
  • 01품질 개선 프로젝트 기획 및 실행
    • 품질 불량률 감소를 위한 프로젝트 설계 및 실행.
    • 주요 품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팀 간 협력.
    • 품질 개선 프로젝트 결과 분석 및 공유.
  • 02지속 가능한 품질 관리 도입
    • 친환경 품질 기준 및 지속 가능성 지표 설계.
    • 친환경 원자재 및 생산 공정을 위한 품질 관리 체계 구축.
    • ESG 기준 반영한 품질 관리 방안 실행.
  • 03고객 품질 불만 분석 및 개선
    • 고객 불만 사항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 분석.
    • 품질 불만 해결을 위한 팀 간 협업 및 대안 제시.
    • 고객 피드백을 바탕으로 품질 개선 계획 수립.
  • 04생산 공정 자동화와 품질 관리
    • 자동화된 품질 검사 시스템 설계 및 운영.
    • 공정 자동화를 통해 품질 검사 효율성 향상.
    • IoT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품질 모니터링 체계 구축.
  • 05데이터 기반 품질 개선
    • 품질 검사 및 공정 데이터 분석을 통한 통찰 제공.
    • 빅데이터 및 AI를 활용한 품질 개선 방안 도출.
    • 품질 데이터 시각화 및 경영진 보고 자료 작성.
  • 06협력사 품질 관리
    • 협력사의 품질 관리 수준 평가 및 기준 제시.
    • 협력사와의 품질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 수행.
    • 협력사 대상 품질 관리 교육 및 지원.
  • 07리스크 관리 및 품질 안정화
    • 품질 리스크 요인 분석 및 대응 전략 수립.
    • 리스크 감소를 위한 품질 안정화 계획 실행.
    • 제품 및 공정별 품질 문제 예측 및 예방 활동.
  • 08신제품 품질 설계 및 검증
    • 신제품 출시 시 품질 검증 프로세스 설계.
    • 시제품 단계에서 품질 테스트 및 개선안 반영.
    • 신제품 품질 기준 수립 및 관리.
  • 09글로벌 품질 관리 표준 준수
    • 해외 시장 요구사항에 따른 품질 기준 설계 및 검토.
    • 글로벌 품질 인증(ISO, CE 등) 취득 및 유지.
    • 글로벌 품질 관리 베스트 프랙티스 적용.
자격요건
품질 관리 및 검사 파트 주임
  • 품질 관리 및 검사 기초 지식 보유.
  • MS Office 및 품질 관리 소프트웨어 사용 경험.
  • 선임
  • 품질 관리 또는 검사 경력 3~7년.
  • 생산 공정 품질 관리 및 개선 프로젝트 경험.
  • 국제 품질 인증 준비 및 심사 경험.
  • 책임
  • 품질 관리 및 품질 보증 경력 7년 이상.
  • 대규모 품질 관리 체계 구축 및 리딩 경험.
  • 글로벌 품질 인증 취득 및 유지 경험.
  • 품질 개선 및 지속 가능성 파트 주임
  • 품질 개선 프로젝트 또는 관련 업무 경험.
  • 품질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능력.
  • 기본적인 자동화 기술 및 IoT 활용 경험.
  • 선임
  • 품질 개선 프로젝트 리딩 경험 3~7년.
  • 협력사 품질 관리 및 문제 해결 경험.
  • 친환경 품질 관리 시스템 도입 경험.
  • 책임
  • 대규모 품질 개선 및 지속 가능성 프로젝트 리딩 경험.
  • 글로벌 품질 관리 표준 설계 및 도입 경험.
  • 데이터 기반 품질 분석 및 개선 사례 보유.
  • 우대사항
    품질 관리 및 검사 파트 주임
  • 품질 관련 자격증(QC, CQE 등) 보유.
  • 제조업 또는 생산 공정 품질 관리 경험.
  • 글로벌 품질 표준에 대한 이해.
  • 선임
  • ISO 9001, 14001 등 품질 인증 심사 준비 경험.
  • 공정 품질 관리 및 개선 경험.
  • 품질 관리 데이터 분석 툴(Tableau, Power BI 등) 사용 경험.
  • 책임
  • 글로벌 품질 관리 프로젝트 리딩 경험.
  • 다국적 협력사 품질 관리 및 협상 경험.
  • ESG 기준을 반영한 품질 관리 체계 구축 경험.
  • 품질 개선 및 지속 가능성 파트 주임
  • 친환경 품질 관리 또는 지속 가능성 프로젝트 참여 경험.
  • 품질 개선 관련 자격증 보유(CMQ/OE).
  • 자동화 품질 검사 도구 사용 경험.
  • 선임
  • 글로벌 품질 개선 프로젝트 리딩 경험.
  • 데이터 기반 품질 개선 및 리스크 관리 경험.
  • ESG 기반 품질 관리 시스템 도입 경험.
  • 책임
  • 글로벌 지속 가능성 및 품질 개선 프로젝트 리딩 경험.
  • 대규모 데이터 기반 품질 분석 및 개선 성과 보유.
  • 품질 개선을 통한 비용 절감 및 고객 만족도 향상 경험.
  • 목록으로